개발
[스프링,스프링부트] 커스텀 어노테이션(Custom Annotation)을 활용한 AOP에서의 로깅처리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공통으로 처리해야 할 기능들은 그 성격과 범위에 따라 인터셉터나 AOP를 사용합니다. 접근권한 로깅 예외처리(에러처리) 트랜잭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공통기능은 이런 기능들이 대표적일 것입니다. AOP(Aspect Oriented Programing)에 대해서는 이 글에서 따로 다루지 않습니다. 인터셉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과 처리 양 끝단에서 개입하는 개념이라 엔드포인트에 국한되어 처리가 가능한데 비해 AOP는 좀 더 어플리케이션내로 들어가서 영역(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등)에 상관없이, 포인트컷과 애노테이션 등 활용하여 대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AOP는 어플리케이션의 어떤 영역이든 종단으로 잘라 관점(Aspect)에 따라 개입할 수 있..
2020. 3. 6. 12:36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