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Spring IoC] 스프링 의존성 주입에 대한 잡설
좀 해묵은 주제일 수 있는데, 기존 코드의 리팩토링 준비 중에 문득 생각나서 끄적여 봅니다. Spring 의존성 주입은 무조건 생성자 주입방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스프링을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는 코드는 의존성 주입에 관련된 @Autowired 어노테이션일 겁니다. 스프링 컨네이너에서 컴포넌트 스캔을 통해 빈으로 등록된 객체의 인스턴스를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객체에 주입시켜 줍니다. 객체의 생성과 객체간의 의존관계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해주는 거죠. 서로 의존관계에 있는 객체가 상대객체의 생성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컨테이너가 대신 함으로써 객체간의 결합도를 최대한 떨어뜨리는 게 스프링 IoC(Inversion of Control)의 핵심 개념입니다. 이전까지는 객체의 ..
2020. 7. 18. 13:39
최근댓글